- 노종면 “尹정권, 부부 공동정권임 잊으면 안 돼…(노상원 수첩 속) 후계자=김건희?”
‘12·3 내란사태’를 모의·실행한 혐의로 구속 기소된 민간인 노상원(전 정보사령관)의 이른바 ‘수거 대상’은 500여명에 이르는 것으로 드러났다.
13일 한겨레가 확보한 70쪽짜리 ‘노상원 수첩’에는 “여의도 30∼50명 수거”, “언론 쪽 100∼200(명)”, “민노총”(민주노총), “전교조”(전국교직원노동조합), “민변”(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어용판사” 등이 ‘1차 수집’ 대상 500여명에 포함됐다.
수첩에 적힌 수거 대상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정청래 의원, 권순일 전 대법관,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 방송인 김어준 씨 등이다. 문재인 전 대통령,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 유시민 작가의 이름도 있었다.
또 2023년 9월에 이재명 대표 구속영장을 기각했던 유창훈 판사는 물론, ‘채 상병 순직사건’을 수사했던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대령)도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방송인 김제동 씨와 차범근 전 축구대표팀 감독의 이름도 언급됐는데, 이들도 ‘수거 대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한겨레는 전했다.
관련해 김병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14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더욱 충격적인 것은 이들에 대한 ‘실행계획’”이라면서 “무인도나 북한 접경지대에 수용한 뒤 자체 사고 처리 한다! 사살, 폭파, 침몰, 격침, 화재, 수류탄 등이란 내용도 담겼다고 한다”고 경악했다.
김 의원은 “게다가 수거 후에는 ‘북에서 조치한다’라는 표현도 있었다”며 “북한과 비공식 접촉, 무엇을 내줄 것인지 등 북한을 끌어들일 계획까지 세웠던 흔적도 확인됐다”고 강조했다.
그는 “경악을 금치 못할 정도다. 상상 그 이상, 충격과 공포 그 자체”라고 밝히고는 “이런 구체적인 계획까지 드러났는데, 체포지시가 없었다는 내란수괴의 주장을 누가 믿겠냐”며 “윤석열은 하루빨리 석고대죄하고, 스스로 탄핵의 문을 열기 바란다”고 촉구했다.
한겨레에 따르면, 노상원은 비상계엄 이후 윤석열 대통령의 재선, 삼선을 위한 헌법 개정 추진 계획을 세운 정황도 드러났다.
한겨레는 노상원의 수첩을 보면 “헌법 개정(재선~3선)”이라는 문구가 있는데, 비상계엄 선포 뒤 “국회, 정치를 개혁”하고, “민심관리(를) 1년 정도”한 뒤, 헌법을 개정해 윤 대통령의 연임을 계획했던 것으로 추정된다고 전했다.
특히 비상계엄 후속 조처로 보이는 부분에는 “헌법, 법 개정”이라며 “3선 집권 구상 방안”, “후계자는?”이라는 내용이 적혀있는데, 이는 윤 대통령이 장기 집권한 이후 직접 지목한 후계자에게 권력을 이양하는 구상을 한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한겨레는 “이뿐 아니라 선거제도에도 손대려 했던 정황이 있다”며 노상원의 수첩을 보면 “중국, 러시아 선거제도 연구”라는 문구가 등장한다며 “중국과 러시아의 선거제도는 민주주의와는 거리가 멀다는 비판을 받고 있는데, 이를 차용하려 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하고는 “수첩에는 ‘국회의원 숫자: 1/2’, ‘선거구 조정’, ‘선거권 조정’ 등의 내용도 적혔다”고 덧붙였다.
![]() |
||
▲ 지난 2023년 9월23일, 미국 순방 일정을 마치고 귀국한 윤석열 부부가 경기도 성남 서울공항에 도착해 공군 1호기에서 내린 뒤 악수하고 있는 모습. <사진제공=뉴시스> |
이에 대해 노종면 민주당 원내대변인은 페이스북을 통해 “노상원 수첩을 보니 윤석열의 계엄 수뇌는 살인마였다”며 “충격적인 내용에 가려질까 우려되는 수첩 내용이 있다”고 짚었다.
그는 수첩에 적힌 “장기집권 그리고 후계자” 부분에 주목하고는 “장기집권은 내란의 목적일 테고, 후계자는?”이라며 물음표를 찍었다.
그러고는 “후계자=김건희?”라고 추측하고는 “윤석열 정권이 부부 공동정권임을 잊으면 안 된다”며 “김건희를 놓치면 안 되겠다”고 강조했다.
김미란 기자 balnews21@gmail.com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