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주당 “검찰 ‘비화폰·김성훈 수사’ 방해, 내부 비화폰 통화자들 때문 아닌가”
![]() |
||
▲ <이미지 출처=연합뉴스TV 화면 캡처> |
심우정 검찰총장이 김용현 전 국방장관의 비화폰(보안처리된 전화기) 번호를 검찰 수뇌부에게 전달한 사실이 드러난 가운데 더불어민주당은 “검찰은 뭘 숨기려고 비화폰 수사를 방해하는가”라고 비판했다.
노종면 민주당 원내대변인은 7일 서면브리핑에서 “비화폰 수사를 막고 있는 이유가, 내란 관련 비화폰 통화를 한 검찰 내부 인사들 때문 아닌가”라며 이같이 말했다.
노종면 대변인은 “내란 2인자라 할 수 있는 김용현 전 장관이 검찰 수뇌부와 비화폰으로 통화한 사실이 드러났다”며 “상대는 이른바 친윤 검사인 이진동 대검차장을 포함해 검찰 간부 2명, 시기는 경찰이 김 전 장관에 대해 압수수색 하겠다고 검찰에 영장을 신청한 직후였다”고 짚었다.
이어 “내란이 일어난 직후에 검찰과 내란범죄 혐의자가 비화폰으로 숨겨야 할 통화가 무엇인가, 다른 검사들도 비화폰 통화를 한 것은 아닌가”라고 따져 물었다.
또 “경찰이 비화폰 서버 관리 책임자인 김성훈 경호차장에 대해 두 번이나 신청한 구속영장을 검찰이 모두 반려했다”며 “‘증거인멸 우려가 사라졌다’는 반려 사유만 보더라도 얼마나 말이 안 되는지 알 수 있다”고 지적했다.
내란 수사 상황에 대해 “비화폰뿐 아니라 경호처 수뇌부에 대한 수사 자체가 막혀버린 상태”이고 “이상민, 박성재에 대한 수사"도 진척이 없다며 “윤석열이 내란을 일으키게 된 중요한 이유라는 ‘명태균 게이트’ 역시 검찰이 틀어쥐고 있지만 개점휴업 상태나 다름없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시간의 문제일 뿐 각종 의혹에 대한 특검은 반드시 가동된다”면서 “그때는 검찰도 수사 대상이 될 수 있음을 명심하기 바란다”고 말했다.
6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심우정 검찰총장은 경찰이 김 전 장관에 대한 압수수색 영장을 신청한 후인 지난해 12월 6일 오후, 김선호 국방차관에게 김 전 장관의 연락처를 물었다.
심 총장은 군사보좌관을 통해 김 전 장관의 비화폰 번호를 확인해 영장 청구를 담당하는 부장검사에게 전달했다. 이후 담당 부장 검사인 이찬규 공공수사1부장과 김 전 장관, 이진동 대검 차장 사이 통화가 수차례 이뤄졌다.
당시 김용현 전 장관이 사용했던 비화폰은 김성훈 대통령경호처 차장이 지급한 것으로 김 전 장관은 민간인인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에게 전달했다.
노상원 전 사령관은 비상계엄이 해제된 지난해 12월 4일 방정환 국방부 혁신기획관을 통해 비화폰을 김 전 장관에게 반납했다.
그러나 김 전 장관은 장관직 사의 당시 자신의 비화폰은 경호처에 반납하면서도 ‘노상원 비화폰’은 반납하지 않았다. 이후 김 전 장관은 ‘노상원 비화폰’으로 이진동 차장검사와 통화한 후 지난해 12월 8일 새벽 검찰에 자진 출석하기 전 경호처에 반납했다.
윤건영 민주당 의원은 지난 6일 국회 내란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위에서 “지난해 12월 6일 저녁 8시경 심우정 총장이 김선호 차관에게 연락했고 김선호 차관은 비화폰 번호를 심 총장에게 준다”며 “심 총장은 이찬규 부장검사에게 얘기해 이 부장검사가 김용현 전 장관과 통화를 시도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랬더니 김용현 전 장관이 ‘대통령과 통화 후에 이야기하겠다’고 한다”며 “이후 윤석열 대통령은 김용현 전 장관에게 ‘김주현 민정수석과 협의하라’고 얘기한 것으로 안다”고 했다.
윤 대통령과의 통화 여부 대한 질문에 김주현 민정수석은 “김용현 장관의 출석과 관련해 전화 통화하거나 그런 얘기를 할 일은 없다고 말씀드렸다”고 답했다.
![]() |
![]() |
||
▲ <이미지 출처=유튜브 ‘엠키타카 MKTK’ 영상 캡처> |
민일성 기자 balnews21@gmail.com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