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ault_top_notch
default_setNet1_2

‘이미경 CJ부회장 소감’이 불편하지 않은 언론

기사승인 2020.02.11  14:19:44

default_news_ad1

- [기자수첩] 아카데미 관례라고 말하기 전에 생각해봐야 하는 것들

<“Up! Up! Up!”..이미경 CJ 부회장 무대에 올린 톰 행크스의 환호>

조선일보가 오늘(11일) 보도한 기사 제목입니다. 기사는 “‘기생충’의 책임프로듀서(CP) 자격으로 시상식에 참석한 이미경 CJ그룹 부회장을 무대에 오르게 한 건 톰 행크스와 샬리즈 세런, 마고 로비 등 할리우드 톱스타들이었다”로 시작합니다. 

이 부분은 정확하지 않습니다. 조선일보가 언급한 것처럼 할리우드 톱스타들이 이미경 CJ 부회장을 직접 지목해서 무대에 설 것을 요청한 건 아니기 때문입니다. 때문에 저는 언급한 조선일보 제목과 기사는 ‘자의적인 해석’이 들어간 것으로 봅니다. 

   
▲ 영화 '기생충'이 9일(현지시간) 미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의 돌비 극장에서 열린 제92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작품상을 받아 봉준호(왼쪽) 감독을 비롯한 제작진과 출연진이 무대에 올라 상을 받고 기뻐하고 있다. <사진제공=뉴시스>

이미경 CJ부회장이 아니라 배우들이 소감을 밝혔다면 …

사실 저는 어제(10일) 제92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이 부분’이 가장 불편했습니다. 

조선일보가 언급한 것처럼 “제작자인 곽신애 바른손이앤에이 대표가 수상 소감을 마친 뒤 무대 조명이 꺼졌고, 객석에서는 소감을 계속 하라는 요청이 이어진” 상황에서 굳이(!) 이미경 CJ부회장이 마이크를 잡아야 했을까 – 이런 의문이 들었기 때문입니다. 

물론 일각에선 △이미경 부회장이 영화 ‘기생충’ 책임프로듀서(CP)에 이름을 올렸고 △CJ E&M이 바른손이앤에이와 125억원 규모 투자계약 체결과 함께 영화 배급도 맡았으며 △100억원에 달하는 홍보비용을 지원한 점 등을 언급하며 ‘하등 이상할 게 없는 수상소감’이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기생충’의 아카데미 4관왕은 봉준호 감독과 배우들, 스테프들의 공헌이 크지만 제작지원과 홍보 등에서 적극적 역할을 했던 이미경 부회장 역할 역시 만만치 않았다는 겁니다. 

게다가 제작사 대표가 발언하는 건 아카데미의 오랜 관례이기 때문에 별 문제 없다는 식의 언론 보도도 이어졌습니다. 

국민일보는 오늘(11일) <‘기생충’ 스포트라이트 이미경, 제작사 대표 발언이 관례>에서 “실제로 지난해 작품상 수상작인 ‘그린북’과 2018년 ‘셰이프 오브 워터’, 2017년 ‘문라이트’, 2016년 ‘스포트라이트’의 수상 소감도 모두 감독에 앞서 제작자들이 말했다”면서 “이날 시상식에서도 제작사인 바른손 이앤에이 곽신애 대표가 먼저 마이크를 잡고, 이 부회장이 이어받았다”고 전했습니다. 

왜 굳이 이미경 CJ 부회장이 소감을 하냐는 비판에 기성 언론들이 친절하게(?) 설명을 해주고 있는 셈입니다. 국민일보 외에 상당수 언론이 ‘이 상황’을 비판하거나 의문부호를 던지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저는 좀 생각이 다릅니다. ‘백 번을 양보해’ 그것이 아카데미 관례라 해도 곽신애 바른손 이앤에이 대표가 수상소감을 밝혔으면 충분했다고 봅니다. 그리고 할리우드 톱스타들이 ‘추가 수상 소감’을 요청했을 때도 이미경 부회장이 아니라 ‘기생충’ 배우들이 하는 게 더 의미가 있고 온당했다고 봅니다. 

‘기생충’이 작품상과 감독상, 각본상, 국제영화상 등 4개 부문에서 수상하긴 했지만 정작 출연한 배우들은 남녀주연은 물론 조연상 후보에도 이름을 올리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저는 이런 점을 고려했다면 마이크를 배우들에게 넘기는 게 ‘기생충’이라는 영화를 더 빛낼 수 있는 장면이었다면 생각합니다. 한국 영화 101년의 역사가 이뤄낸 쾌거를 온전히 더 즐길 수 있었다고 봅니다. 

영화의 ‘본진’이라 일컬어지는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봉준호 감독의 ‘수상 소감’과 함께 작품에 참여한 배우들이 할리우드 톱스타 앞에서 소감을 밝히는 장면이 나왔더라면 ‘그 장면 자체’가 우리 영화사에서 상당히 의미 있는 풍경이 됐을 거라고 봅니다. 

하지만 제가 보기엔 상당히 유감스럽게도 이미경 CJ부회장이 책임프로듀서(CP) 자격으로 ‘피날레’를 장식했습니다. 특히 동생인 이재현 CJ 회장에게도 고마움을 전하는 대목은 불필요했다는 게 저의 생각입니다. 

사실 저는 ‘이미경 부회장의 수상소감’을 둘러싼 논란이 언론이 토론을 해볼 사안이라고 봅니다. ‘그것이 온당했고 적절했는가’에 대해서는 문제제기와 반론을 통해 다뤄볼 사안이라는 거죠. 

   
▲ 영화 '기생충'의 출연진이 9일(현지시간) 열리는 제92회 아카데미 시상식에 참석하기 위해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의 돌비극장 앞 레드카펫 위에 서있다. <사진제공=뉴시스>

삼성이 투자한 영화가 할리우드에서 수상하면 이재용 부회장이 수상소감을? 

그런데 정말 이상하게도 기성 언론 상당수가 ‘이 문제’에 그냥 넘어갑니다. 그냥 넘어가는 정도가 아니라 친절하게 이미경 부회장과 CJ의 입장에서 의미부여는 물론 설명까지 해줍니다. 극히 일부 언론을 제외하곤 말이죠. 일부 언론의 기사 제목만 간단히 인용합니다.  

<‘숨은 공신’ 이미경 “봉 감독의 모든 것 좋아”> (세계일보) 
<숨은 주역 이미경 “난 봉준호 모든 게 좋다”> (중앙일보) 
<아카데미 생중계 시청률 1위..이미경 CJ 부회장이 ‘최고의 1분’> (한국경제) 
<이미경 CJ 부회장 “기생충, 불가능한 꿈 이뤘다..모두에게 감사”> (MBN)
<‘기생충’ 봉준호의 든든한 후원자, CJ 이미경 행보 관심집중> (데일리안)

최광희 영화평론가는 자신의 페이스북에서 ‘이미경 부회장 수상 소감’에 대해 이런 글을 남겼습니다. 

“알라딘은 디즈니 영화입니다. 이미경 부회장처럼 만약 투자자가 프로듀서 크레딧에 오를 수 있다면 디즈니의 CEO인 밥 아이거 이름이 올라와 있어야 합니다. 그런데 없죠? 할리우드에선 영화에 돈을 댄 이, 그러니까 스튜디오 대표는 그냥 CEO이지 프로듀서가 아닙니다. CEO는 돈을 벌고, 명예는 제작진이 가져가는 것이라는 걸 아는 것이죠. 아. 그리고 밥 아이거는 월트 디즈니 가문도 아닙니다.

그런데 여러분 그거 아세요? 이미경 부회장은 국내 상영작 크레딧에는 이름을 올리지 않습니다. 오로지 투자한 영화가 외국에 나갈 때만 프로듀서 크레딧에 미키 리라는 영어 이름을 올리죠. 참 희한한 노릇입니다.” 

저는 ‘이런 문제제기’는 언론이 하는 게 온당하다고 봅니다. 축제는 즐겨야 하지만 토론이 필요한 대목은 토론을 해야 하니까요. 

민동기 미디어전문기자 

민동기 미디어전문기자 mediagom@gmail.com

ad44
default_news_ad3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default_setImage2
기사 댓글 9
전체보기
  • 진짜 몰라서 그러는데 2020-02-13 23:26:59

    이미경 대표가 기생충이 제작되는 과정에서 금전적 배후 지원 외에 작품내적으로 어떠한 역할을 했는지가 궁금하네요.

    아니 솔직히 각본이 만들어질 때의 역할에 단 1이라도 긍정적인 직접 기여를 한 바가 있는지 조차 궁금할 지경이네요. ㅉㅉㅉ신고 | 삭제

    • 갸우뚱 2020-02-13 22:38:11

      미디어전문기자신데...
      이미경대표와 봉준호감독의 인연, 기생충이 제작되는 과정에서의 이미경 대표, 그리고 아카데미 캠페인 기간에서 이미경 대표의 역할을 잘 모르시는군요.
      기자로서 뭐라도 비판을 하고 싶었다면...
      가장 중요한 작품상 수상 소감을 하는 것인데도 제작자 소감 후에 바로 불을 꺼버린 이유, 객석에서 요구해서 다시 불키고 마이크 올려놓구선 한 명 소감 더 듣고 또 조명 꺼버린 이유...
      극본상, 감독상, 작품상을 받은 영화에서 단 한 명의 배우가 후보에 오르지 못한 이유...
      이런 거 조사하고 기사 쓰는게 더 의미가...신고 | 삭제

      • 사실 2020-02-11 21:14:56

        기생충이 좀 더 현실적으로 사회풍자를 이룩하려면

        영화 하녀의 부패한 재벌을 기생충에 합쳐서 사회의 기생충인 비리부패 재벌일가와

        그 일가에 기생하는 비리부패 빈민의 대결구도인 사회 각계의 기생충들이 대립하는 연출표현을 하는 것이 정확한 풍자묘사라고 생각했는데

        봉 감독의 주제의식은 부패할 수 밖에 없는 빈민에 대한 애환과 동정표에 좀 더 초점을 맞춰 강조하고자하는 의지가 뚜렷했던 것 같고,

        자본계층 간의 양자대결구도시 빈민 애환에 대한 강조효과가 희석될 수 있어서 그냥 기생충 빈민만을 나쁘고 불쌍하게 그린 것 같네요.신고 | 삭제

        • 이번 작품만 봐도 2020-02-11 21:14:41

          이전 작들에 비해 재벌에 대한 비판은 확연히 줄어들어 전 작 설국열차 대비 상대적으로 명백한 재벌미화를 연출했죠.

          뭐, 배급의 재벌 씹제의 구미입맛에 맞게 변형된 입김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지 않았을까 하구요.신고 | 삭제

          • 왜냐면 2020-02-11 21:02:13

            그도 그럴 것이 헬국은 돈 하나면 법도 쥐락펴락하는 유전무죄 무전유죄 자본독재 무법통치 재벌왕국이기 때문에

            무소불위 돈의 힘만 믿고 겁대가리 상실한 재벌충 개새끼들이 헬국에서 깝치며 안주하던 감각으로 양키국에 가서 똑같이 깝치다가

            오만방자 막장근성 재벌종특 지 개버릇 뽀록난 걸 억지무마 수습해주느라

            광고노예 기레기충들이 후빨지랄 발광떠느라고 안달나는 지랄발광 목불인견 후빨개쇼 해프닝이 일어난 거죠. ㅉㅉㅉ신고 | 삭제

            9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전체보기

            ad43

            최신기사

            default_news_ad4
            default_side_ad1

            인기기사

            ad41
            ad37
            default_side_ad2
            ad38
            ad34
            ad39

            고발TV

            0 1 2 3
            set_tv
            default_side_ad3
            ad35

            섹션별 인기기사 및 최근기사

            default_setNet2
            default_bottom
            #top
            default_bottom_not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