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ault_top_notch
default_setNet1_2

“정치발전, ‘정치보도’ 개혁 없이 불가능하다”

기사승인 2016.06.23  14:55:05

default_news_ad1

- “대놓고 특정계파 옹호·비난…<조선> 사설로 정청래 공천배제 요구라니”

4·13 총선이 우리 사회에 던진 메시지는 무엇일까. 필자는 언론개혁 없이 한국 정치발전은 불가능하다는 것을 확인시킨 점이라고 생각한다. 4월 총선이 새누리당의 참패와 여소야대라는 결과로 귀결되면서 언론의 불공정보도와 문제점이 희석되긴 했지만, 총선 이전에도 그리고 20대 국회가 개원한 지금도 ‘언론개혁’은 한국 사회를 관통하는 핵심문제다.

대놓고 특정계파 옹호·비난하는 언론

최근 들어 한국 언론 특히 정치보도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문제점은 특정계파를 대놓고 옹호하고 나선다는 점이다. 과거 불공정보도의 기준이 여당과 야당이었다면 이젠 여야를 넘어 여권 내 특정계파와 야권 내 ‘특정계파’를 옹호·비난하는 쪽으로 세분화되고 있는 게 특징이다.

최근 ‘탈당파 복당 승인’ 과정을 둘러싼 새누리당 내홍 사태가 대표적이다. 새누리당 혁신비상대책위원회가 20대 총선 과정에서 탈당해 무소속으로 당선된 7명을 일괄 복당시키기로 결정하자, 유승민 의원 복당 결정에 반발한 일부 친박 의원들이 ‘비대위의 쿠데타’라며 반발했다.

문제는 언론이 이 문제를 다루는 방식이다. 상당수 언론이 ‘새누리당 비대위 결정에 대한 친박계의 반발’ 혹은 ‘유승민 의원 복당을 둘러싼 친박과 비박의 대립’이라는 프레임으로 이 문제를 다뤘다. 이번 사안이 불거진 원인 등에 대한 진단이나 분석은 생략한 채 새누리당 계파의 입장을 단순 중계 보도하는 방식을 취했다.

   
▲ TV조선 <사진 찍어 SNS에…‘총선 마케팅’>(2/17) 화면 갈무리

물론 언론이 정치현상이 다룰 때 양쪽의 입장을 ‘공정하게’ 중계보도 해야 할 때도 있다. 하지만 유승민 의원 등 이른바 20대 총선과정에서 새누리당을 탈당한 무소속 의원의 복당 문제는 ‘친박 vs 비박 갈등’을 중심으로 중계보도 해야 할 사안이 아니다. 가치판단이 어렵지 않은 비교적 단순명쾌한 사안이라는 얘기다.

탈당 의원 복당 문제는 새누리당에서 새 지도부가 출범할 때까지 당 지도부 역할을 맡은 새누리당 비대위의 전결 사항이다. 새누리당 비대위의 복당 결정에 절차적으로 문제가 있었나? 없었다. 전결 사항이기도 한 복당 문제를 비대위가 ‘절차적 합리성’을 거쳐 결정했는데 친박 진영이 반발했다면? 비판과 비난을 받아야 하는 쪽은 당연히 친박 쪽이다.

하지만 지상파 방송을 비롯한 많은 언론은 친박을 향해 이런 식의 비판을 하지 않는다. 새누리당 비대위 결정에 친박이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는 식의 중계보도에만 방점을 찍고 있다. 이런 식의 중계보도로 ‘특혜’를 보는 쪽은 친박 진영일 뿐이다.

오죽했으면(!) 그동안 집권 여당에 호의적인 태도를 보인 <동아일보>가 6월17일자 사설에서 “청와대와 친박이 유 의원 복당 결정을 힘으로 찍어 누르려고 하는 것이 사실이라면 정당 민주주의에 반하는 패거리 정치”라고 비판을 했겠는가. <동아일보>는 이날 사설에서 친박의 무소속 복당 반대 움직임을 “한 달 전 정진석 원내대표의 혁신위원장 선정과 비대위 구성을 친박이 좌초시킨 것 이상의 패권주의 행태”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사실 무소속 의원 복당 과정에서 보인 친박 진영의 이 같은 행태는 <동아일보>는 물론이고 <조선일보> <중앙일보> 등도 강도 높게 비판했다. 기사에서는 양쪽의 입장을 전달하는 식의 중계보도에 그쳤지만 적어도 사설에서는 친박 쪽의 비상식적 행태를 강하게 질타했다. 그만큼 ‘조중동’이 보기에도 무소속 의원 복당과 관련해 친박 진영의 반발이 말이 안 되는 ‘몽니’라고 봤다는 얘기다.

친박에 ‘특혜’ 대접하는 언론…친노에는 대놓고 적대적

(이 단락은 PD저널에 기고한 칼럼(2016년 3월14일) ‘막장으로 가는 공천? 막장으로 가는 정치 저널리즘!’을 수정 보완한 것입니다.)

중계보도를 통해 사실상 친박 진영에 ‘특혜 대접’을 하고 있는 상당수 한국 언론이 이른바 친노에 대해서는 대단히 적대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는 것도 흥미롭다(친노의 실체를 두고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여기서 이 문제는 일단 논외로 한다).

지난 4·13 총선 과정에서 나타난 언론 보도의 문제점은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필자가 보기에 친노에 대한 적대적인 태도도 심각한 문제 가운데 하나였다. <조선일보> 2월25일자 사설이 대표적이다. <조선일보>는 이날 ‘더민주 현역 10명 물갈이, 상습적 막말 의원은 왜 빠졌나’라는 사설에서 “동료 최고위원을 향해 ‘공갈이나 친다’며 당을 헤집어놓고 여당을 향해서도 틈만 나면 막말을 퍼부어 국회와 국회의원의 격(格)을 떨어뜨린 정청래 의원 같은 사람은 왜 남겨두었는지 의문”이라고 비난했다.

   
▲ <조선일보> 2월 25일자 35면 <사설/더민주 현역 10명 물갈이, 상습적 막말 의원은 왜 빠졌다> ⓒ조선일보PDF


당시 더불어민주당이 발표한 1차 ‘컷오프’에서 현역 의원 10명이 포함된 것을 거론하며 ‘왜 정청래 의원은 빠졌는지’를 질타하고 있는 것이다. 특이한 건, <조선일보>가 이날 사설에서 공천배제를 대놓고 요구한 정치인은 정청래 당시 의원이 유일했다는 점이다. 정청래 의원이 비리 의혹을 받았거나 사회적으로 엄청난 물의를 일으킨 인물이라면 <조선일보>가 정 의원의 실명을 공개적으로 거론하며 공천 배제를 요구한 게 나름 이해가 갔을 것이다. 하지만 정 의원이 <조선일보>가 사설에서 실명을 거론할 정도로 문제가 많은 인물이었을까. 당시에도 그랬고 지금도 동의하기 어려운 부분이다. 어찌됐든 <조선일보>와 종편의 정청래 의원에 대한 집요한 컷오프 요구 때문인지 정청래 의원은 결국 더불어민주당 공천에서 탈락했다.

<동아일보> 3월11일자 사설 ‘김종인 개혁, 이해찬 빼놓고 ‘친노 패권’ 청산 어림없다’ 역시 지난 4월 총선 과정에서 친노에 대한 대표적인 적대감을 드러낸 사설 가운데 하나다. <동아일보>는 이날 사설에서 이해찬 의원의 실명을 구체적으로 거론하며 공천배제를 공개적으로 주장했다. <동아일보>는 해당 사설에서 이해찬 의원 컷오프 요구와 함께 “더불어민주당의 쇄신은 정치를 왜곡시켜 온 친노와 운동권 세력을 얼마나 배제할 수 있느냐에 달려 있다”고 주장했다.

친노에 대한 조중동 등 보수신문의 적대적 태도는 어제 오늘 일이 아니지만 공천 작업이 한창 진행 중인 정당을 향해 특정 언론이 구체적 실명을 거론하며 공천배제를 요구한 걸 어떻게 봐야 할까. ‘언론자유’의 일환으로 생각할 수도 있지만 필자가 보기엔 그것은 ‘조중동의 언론자유’는 될 수 있을지언정 ‘공정한 언론활동’이라고 보기는 어려운 것 같다.

4월 총선에서 나타난 정치보도의 문제점

이른바 친노 진영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의원 실명까지 거론하며 공천탈락을 요구하고 있는 보수신문이 정착 4월 총선에서 계파 갈등의 극치를 달렸던 새누리당을 향해선 그런 요구를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욕설 파문’을 일으킨 윤상현 의원 정도만 컷오프를 요구했을 뿐, 조중동은 패권주의의 극치를 달린 친박 핵심 의원들에 대해서는 실명은커녕 공천탈락을 요구한 적이 없다.

   
▲ ‘채널A’ 8일자 “윤상현 ‘김무성 죽여버려’” 보도<이미지출처=채널A 화면캡처>

<동아일보>가 ‘친박 패권주의 청산’을 요구하며 최경환 의원 공천배제를 요구한 적이 있었던가. <조선일보>가 청와대가 내려 보낸 이른바 ‘진박 후보’ 의원 실명을 거론하며 이들을 공천 탈락시켜야 한다고 주장하는 걸 본 적이 있었나. 이상하게도 조중동은 ‘친박 패권주의’를 비판할 땐 두루뭉술하게 비판했던 반면 ‘친노 패권주의’를 비판할 땐 구체적인 의원의 실명까지 거론하며 대놓고 탈락시키라고 요구했다.

정리하면 이렇다. 백 번을 양보해 조중동이 ‘친노 패권주의’를 비판하며 친노 핵심의원 공천배제를 요구한 점을 인정한다고 치자. 그렇다면 ‘친박 패권주의’에도 같은 기준을 적용해 ‘친박 핵심인사’에 대한 공천배제를 주장해야 한다. 하지만 조중동은 ‘친노’를 비판할 땐 의원 실명까지 거론하며 공천탈락을 주장하면서 ‘친박’에 대해서는 지극히 교과서적이면서 원칙적인 수준에서 옳은 말씀만 하고 있다. ‘친노 비판’이 문제가 아니라 완전히 다른 잣대를 들이대는 조중동의 ‘기준’이 문제라는 얘기다.

더 심각한 문제는 지난 4월 총선 과정에서 조중동을 비롯한 종편들이 이런 식의 정치 보도행태를 보였음에도 지금까지 아무런 반성 없이 기존 관행대로 또 다시 정치보도를 계속하고 있다는 점이다. 마치 아무 일 없었다는 듯 20대 국회 앞에 놓인 과제가 무엇인지 기사를 내보내고 정치발전과 관련한 기획기사를 지면과 화면을 통해 선을 보인다. 자신들의 지난 과오에 대해서는 최소한의 반성도 하지 않은 채.

여야에 대한 불공정보도를 넘어 특정계파 대놓고 옹호·비난하는 언론이 있는 한 한국 정치 발전은 기대하기 어렵다. 야당의 공천과정에 대놓고 개입을 하는 언론이 승승장구 하는 한 한국 정치발전은 불가능하다. 가장 심각한 건 자기반성이 결여된 언론이 한국 정치에 대해 훈계자로 나설 때다. 비극적이지만 내년 대선을 앞둔 2016년 한국 언론은 이 모든 상황에 해당된다. 한국 정치발전은 ‘정치보도’ 개혁 없이 불가능하다.

※ 이 글은 한국미래발전연구원과 동시에 게재됩니다. 

민동기 미디어평론가 balnews21@gmail.com

ad44
default_news_ad3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default_news_ad4
default_side_ad1

인기기사

ad41
ad37
default_side_ad2
ad38
ad34
ad39

고발TV

0 1 2 3
set_tv
default_side_ad3
ad35

섹션별 인기기사 및 최근기사

default_setNet2
default_bottom
#top
default_bottom_notch